비트 코인 그리고 암호 화폐와 블록 체인 기술
BITCOIN (BTC, 비트코인)
나카모토 사토시 (신상이 알려진 바가 없음)가 개발한 블록 체인 기술에 기반한 암호 화폐.
발행량 : 21,000,000개
알아두어야 할 단어.
CryptoCurrency 암호화폐
BlockChain 블록체인기술.
Ledger 장부
PoW (Proof of Work) 채굴
PoS (Proof of Stake) 지분증명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탈 중앙화 응용프로그램 (분산화)
EVM (Ethereum Virtual Machine)
Smart Contract ?
ICO (Initial Coin Offering)
FOMO (Fear of Missing Out) 놓치는 것에 대한 불안, 미래에 생길 이벤트에 내가 제외되는 것은 아닌가...? => 추격매수, 물타기보다는 불타기
FUD (Fear Uncertainty and Doubt) 공포, 불확실성, 의심. => 패닉셀로의 진행
화폐로서의 코인.
- 화폐는 블록 체인의 최대 화두가 아니고 일부분이겠지만 돈이라는 것은 현재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이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한다. 암호 화폐는 일정 수준의 가격 안정성을 획득할 것이고, 암호 화폐 발급 기관은 금융 기관을 아우르는 형태로 발전할 것 같다. 한 국가 내에서야 그 기반 시설 수준에 따라 은행들의 기술에 딴지를 걸기 어렵지만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시간은 오래 걸리고 과정은 복잡하고 수수료는 비싼 은행들의 콧대 높은 행태에 철퇴가 내려질 것이다. 일례로 카카오 뱅크가 해외 송금 수수료를 파격적으로 줄였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카카오 뱅크를 통해 송금하기를 원했을 것이다. 암호 화폐는 그보다 더 빠르고 간편하고 싸다. 이것은 대량 생산으로 가내 수공업을 뒤집은 것과 같다고 보면 될 것이다. 당연히 가내 수공업에 해당하는 은행들이 망하진 않을 것이지만 그 역할에 한계가 생길 것이다. 사실 신용카드의 비자나 마스터가 해먹던 짓을 조금 더 고도화시켜낸 기술이 블록 체인인 것 같다고 이해하면 간편할 것 같다.
정부의 관점으로 본 코인.
국가적으로는 통화의 독점이 깨지는 것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강한 규제 카드를 써가면서 현 체제 안으로 연착륙시키길 원할 것이다. 허나 기술의 발전 속도가 정부보다 개인들에게 충분한 순간이 도래하면 집권형 정부는 스러져가는 체제가 될 것이다. 이로 인해 기업형 국제적 정부가 생길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먼 미래를 볼 때 국가로서는 그 권력에 올라탈 수 있도록 유망한 블록 체인 기술을 개발하거나 선점하는 것이 중요할텐데 과연 중앙화의 정부와 분산화의 블록 체인이 어떤 조화를 이루며 균형이 맞추어질지도 궁금하다.
이에 덧붙여 과연 중국의 코인 규제는 풀릴 것인가? 물론 꽤나 자본에 침식당한 상태이지만 공산주의 유지가 어려울 정도의 기술인데...
중국 관련주는 네오, 트론,
단지 공유의 관점에서 볼 때, 참여하는 인원이 많을수록 안정화된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전력의 공급, 충분한 능력을 가진 디지털 기기들의 보급도 따라주어야 할 것 같다.
* 공짜로 소고기 먹는 방법 *
코인을 매도할 거래소에서 장기 상승 코인을 선정. (매도 거래소의 가격은 수수료를 포함하여도 매수 거래소보다 높아야한다.)
거래소 간 가격의 차이는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문제는 안정적인 코인의 선정이다. 물론 지갑 존재의 여부와 거래 속도, 입출금 속도도 중요하다.
매수를 하고 지갑 이동, 매도를 하고 현금 이동. 이익금을 빼지 않고 재투자할 시에는 복리와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암호 화폐, 미래로 가는 길 위의 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잇 tip (0) | 2018.02.18 |
---|